본문 바로가기
대치동 재우쌤 유튜브

학벌과 직업과 연봉 - 대학생 취업 희망 기업, 고시, 전문직, 공시 등

by 재우쌤 2020. 10. 7.
728x90

■ 인트로

안녕하세요, 학생들 가르치며 먹고사는 것에 관심이 많은 재우쌤이에요.

오늘은 학벌과 직업에 관해 이야기해볼게요.

통계 자료를 통해 알려줄 건데, 잘못 해석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지금부터 학벌, 직업, 연봉 관련 랭킹을 모아 알려드리겠습니다.

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5/2020011500178.html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5/2020011500178.html

 

www.chosun.com

조선일보 기사를 보았는데요.

SKY 출신의 9급 공무원 도전 비율이 늘어나고, 심지어 대학에 가기 전에 공무원 시험을 치르는 학생이 늘고 있어요.

저 역시 10대로 돌아간다면 공무원 시험부터 준비할 거 같아요.

경제가 무너지고 먹고 사는 문제에서 자유로운 사람이 점차 줄어드는 거 같아요.

그래서 여러분에게 몇가지 신문 기사에 나온 통계 자료, 랭킹을 소개하려 합니다.

어설픈 훈계는 제외하고 정보만 있는 그대로 소개해드릴게요.

 

■ 대학생 희망 기업

 

자료출처 = 한국경제연구원 / 취업 목표 기업 및 실제 취업 예상기업

 

기사출처 : www.morningeconomic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84

 

대학생 취업희망 1순위는? 공기업, 대기업, 공무원 順 - 모닝경제

[모닝경제= 신목기자] 대학생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은 공기업(21.5%), 대기업(16.8%), 정부(공무원)(16.8%), 중견기업(15.6%), 중소기업(11.8%), 외국계기업(9.0%), 금융기관(3.9%) 순으로 조사됐다.하지만

www.morningeconomics.com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기업은 어디일까요?

한국경제 연구원에서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4,158명을 대상으로 '2020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를 진행했는데요.

대기업보다는 공기업 취업을 많이 고려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공무원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과 대기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의 비율이 비슷하네요.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이 통계 자료에 포함된 건, 아무래도 특정 회사에 관심이 있는 게 아니면 결국 자신의 스펙으로는 도저히 공기업, 대기업, 공무원 취업이 어렵다고 생각해서 선택한 게 아닐까 싶어요.

 

자료에는 안 나오지만, 올해 예상 취업률은 44.5%가 나왔다네요.

대학생 혹은 졸업자 과반수 이상이 올해 취업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거죠.

고로나랑 경기 침체가 맞물려 취업하기 굉장히 어려운 시기에 직면해 있어요.

중소기업에 입사할 거 같다는 의견이 전체의 4분의 1이나 돼요.

 

현재 고등학생과 재수생들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취준생들은 입에 풀칠할 직접적인 수단을 찾는 거라 더 힘들 거예요.

 

출처 : 잡코리아 / 2019 공기업 VS 대기업 직원연봉 차이

잡코리아에서 발표한 2019년 공기업과 100대 대기업 연봉 차이입니다.

평균 286만원 차이라는데, 크다면 크다고 볼 수 있지만 공기업이 보다 안정적이라는 걸 감안하면 공기업이 더 낫다고 생각되네요.

jobnjoy.com/portal/job/hotnews_view.jsp?nidx=370798&depth1=1&depth2=1&depth3=1

 

공기업 연봉 평균, 대기업과 큰 차이 없어···공기업 연봉 1위는 ′한국마사회′ - 취업 핫뉴스 �

요즘 가장 화제 되고 있는 취업 소식 제공

jobnjoy.com

 

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224/99840055/1

 

대기업 대졸 신입 평균연봉 4118만원…中企와 1278만원差

올해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 평균연봉이 4118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2840만원)과는 여전히 약 1300만원 정도의 큰 격차를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대기업…

www.donga.com

그럼 대졸 신입 사원의 연봉 격차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잡코리아에 따르면, 2020년 기업별 대졸 신입 평균 연봉인데요.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연봉차는 1300만원 가량입니다.

이 정도면 어마어마한 차이죠.

중소기업이 일을 덜 하는 것도 아니고, 연 1300만원 차이면 중소기업에서 과장을 달아도 대기업 신입과 비슷한 연봉을 받을 수 있겠네요.

그에 비해 공기업은 대기업과 400만원 가량 차이나죠.

 

■ 공기업

참고로 10대나 20대 초반 학생들 중에는 아직 모르는 경우도 있어서 알려줄게요.

공기업에 들어가려면 NCS 시험이라고 의사소통 능력, 수리력, 문제 해결력, 자원 관리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를 풀어야 해요.

거기에 전공 시험까지 봐야 하는 기업도 있어요.

대신 공기업에 합격하면 안정적으로 오래 일한다는 안도감과 대기업보다는 적지만 안정적인 연봉을 보장받게 돼요.

연봉과 정년 모두 어느 정도 안정적이라는 거죠.

상대적으로 나이를 잘 안 보기 때문에 대기업 취업을 준비하다가 공기업 준비로 방향을 트는 취준생도 많아요.

연봉을 볼까요?

 

출처 : 비즈니스워치 / 공기업 정규직 연봉

 

기사출처 : news.bizwatch.co.kr/article/finance/2020/05/26/0012

 

[공기업 연봉워치]④코바코, 정규직-무기계약직 연봉차 '6천만원'

응시자 규모가 30만 명에 육박한다는 공무원시험. 우리나라 굴지의 대기업 삼성에 입사하는 것보다 공무원이 더 낫다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 공무원과 결을 같이 하는 것이 공기업이다. 공기업��

news.bizwatch.co.kr

한국중부발전이 1위이고 한국남부발전이 2위예요.

발전이 뭐하는 곳인가 하는 친구가 있을 텐데, 한국의 전력회사를 쪼개 둔 거예요.

1961년에 한국전력주식회사라고 기존에 있던 전기 회사를 통합하는 걸로 시작되었어요.

나중에 전력시장을 민영화할 목적으로 한국전력주식회사를 남부, 남동, 동서, 서부, 중부로 쪼갠 거죠.

그래도 5개 모두 공기업 연봉 상위에 올라 있어요.

그 외에도 전력 관련 기업들의 연봉이 상위에 올라 있는데, 보통 국내 에너지 생산과 관리는 대체로 공기업이 담당하고 있어요.

방송광고, 석유, 인천공항 등 친숙한 이름도 보이네요.

대기업을 준비하다 공기업으로 방향을 트는 것보다는 처음부터 공기업을 준비하는 걸 추천해요.

일자리 구하기 어려운 시기인 만큼 한 우물을 제대로 파는 게 낫다고 봐요.

 

■ 대기업

일단 4년제 대학에 가면 막연하게 대기업에 입사한 자신을 떠올리게 되죠.

그런데 대학 선배들을 보며, 대기업에 들어가는 게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기보다 어렵다는 게 뭔지 깨닫게 돼요.

공기업도 나쁘지 않은데 왜 대기업을 준비하던 취준생들이 나중에 공기업으로 눈길을 돌리게 될까요.

 

출처 : 스포츠동아 / 기업 직원 평균 연봉

 

기사출처 : 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503/100895118/5

 

대기업 평균 연봉 7920만원…금융사 상위권 랭크

2019 국내 500대 기업 조사 결과 국내 500대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들이 2019년 1인당 평균 7920만 원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www.donga.com

스포츠동아에서 2020년 5월에 쓰인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어요.

연봉이 1억이 넘죠. 저 돈이 내 돈은 아닌데 공기업과는 조금 격차가 있죠.

대기업 평균 연봉은 7920만 원, 대략 8000만 원이라고 보면 돼요.

이렇게 따지고 보면 사실 공기업과 대기업의 연봉 격차가 그렇게 큰 건 아니에요.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대기업이 공기업보다 임금의 표준편차가 크겠죠.

그리고 정년이 되기 훨씬 전부터 퇴직을 강요하는 케이스를 많이 듣다 보니, 내가 대기업에 들어가도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죠.

그래도 많은 청년들이 일단 대기업에 입사하는 걸 한 번쯤은 생각했을 거예요.

그렇다면 대기업에서 임원까지 올라간 사람들은 어느 대학을 졸업했을까요?

 

출처 : NEWSis & CEO스코어 / 10대 대기업 그룹 사장이상 임원진 출신대학 순위

news.joins.com/article/10434010

 

10대그룹, 임원 10명 중 6명은 '스카이'…평균 58세

【서울=뉴시스】박상권 기자 = 10대 대기업 그룹 사장 이상 임원 10명중 6명은 소위 '스카이' 출신 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서울대는 10명중 3.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GS그룹을 제외한 9개 그룹 사�

news.joins.com

SKY 출신들이 참 많죠. 이건 10대 대기업에서 임원진 중에서도 사장급 이상을 조사한 거니, 사실상 우리가 고려할 자료는 아니에요.

더욱이 2013년 자료거든요.

그럼 작년 자료를 한 번 볼까요.

 

출처 : 베리타스 알파 / 2019년 1000대 기업 출신대학별 CEO 인원 현황

SKY의 CEO 비율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 합니다.

그래도 아직은 SKY 출신이 CEO를 많이 하고 있죠.

연세대랑 고려대는 조사하는 기업의 수와 종류에 따라 엎치락뒤치락해요.

 

■ 전문직

전문직이라 함은 무엇일까요?

전문직에는 크게 3가지가 있는데, 면허증을 요구하는 전문직과 자격증을 요구하는 전문직, 그리고 둘 다 필요 없지만 경력이 쌓인 전문가가 하는 일을 전문직이라 불러주는 경우가 있어요.

제가 지금 소개할 전문직은 주로 자격증을 요구하는 전문직이에요.

실상 면허증을 요구하는 전문직은 의사, 한의사, 간호사, 약사, 물리치료사, 임상병리사 등 주로 의료 계열이 많아요.

그 외 건축사, 안경사, 수렵 면허, 항공 면허, 운전면허 등이 있죠.

이 면허는 면허증이 없는 사람이 해당 행위를 하면 불법으로 처벌받을 정도로 목숨과 직결되는 행위에 자격을 부여하는 겁니다.

따라서, 희소성이 있고 그만큼 소득과 직결되죠.

그래도 면허를 가진 사람이 많아지면 희소성이 떨어지는데, 우리가 흔히 접하는 운전면허가 그 대표적인 예이죠.

 

그에 비해 자격증은 없어도 해당 행위를 할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행위는 할 수 있어도 전문가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공부가 부족하면 아예 그 행위 자체를 하기 어려운 일에 자격을 부여한 게 바로 자격증이죠.

이 중에서는 목숨과 직결되지는 않지만, 자격증이 없으면 절대 할 수 없는 준 면허 증급의 자격증도 많아요.

 

출처 : 비즈니스워치 / 전문직 1인당 연간 소득

 

특허와 관련된 공대생이 원하는 전문직 중 가장 많은 돈을 번다는 변리사부터 차례대로 나와 있죠.

그다음에는 상당수가 법이나 돈을 다루는 일이죠.

주로 경영학과와 같은 상경계열 학과를 전공한 학생들이 많이 지원하게 돼요.

연간 소득이 어마어마하죠.

아니... 이렇게 돈 잘 버는 직업이 있는지 처음 안 분들도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 직업들 중 상당수가 고학벌 출신으로 채워져 있어요.

 

출처 : 법률저널, 한국대학신문 / 2019년 대학/계열별 고시 및 전문직 실적

 

 

2019년 대학별 고시와 전문직 실적을 볼게요.

아무래도 고시하면 장원급제의 상징이다 보니 많이 거론되죠.

회계사가 고시랑 견줄 만하냐며 반론을 제기하는 분도 계시던데, 여기 적힌 입법고시, 외교관, 5급 행정 및 기술직은 모두 엘리트 중에서 초 엘리트를 선별하는 시험이라고 보면 돼요.

항상 SKY가 상위권에 올라 있죠.

 

변리사가 가장 많은 돈을 버는 전문직이니까 어느 대학 출신이 많은지 궁금하실 거예요.

 

출처 : MLBPARK / 최근 10년간 다학별 변리사 합격자 수 총계

 

기사출처 : mlbpark.donga.com/mp/b.php?p=31&b=bullpen&id=201710030009439969&select=&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6jRGg21k3HRKfX2hgjXHl-Y5mlq

 

변리사 10년간 대학별 합격자 순위.JPG : MLBPARK

보니까 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 고시류+변리사까지는 서울대가 압도적으로 1등하는…

mlbpark.donga.com

역시나 SKY가 1위에서 3위까지 차지하고 있어요.

괜히 SKY가 아니죠.

그래서 저 역시 고려대에 다니면서 학우들 중 전문직을 준비하거나 이미 합격한 사람들을 많이 봤어요.

정말 인생의 승리자 같은 후광이 비치더라고요.

그만큼 준비하다가 아쉽게 합격하지 못한 학우들도 많이 봤죠.

수년간 준비하다가 취업도 위태로워져 학원계로 오는 경우도 많아요.

 

■ 고시

앞서 봤던 대학별 고시 및 전문직 실적 자료에서 행정고시만 따로 볼까요?

 

출처 : 법률저널 / 2019년 행정고시 합격자 배출 대학 현황

 

 

기사 출처 : 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3723

 

2019년도 행정고시, 연세대‧성균관대 역대 최다 성과 - 법률저널

법률저널 PSAT 본 접수, 다양한 이벤트 확대[법률저널=이상연 기자] 2019년도 행정고시(5급 공채-행정)에서 서울대의 쏠림현상이 다소 완화된 가운데 연세대와 성균관대가 역대 최다 합격자를 배출

www.lec.co.kr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순으로 나와 있죠.

회계사는 고려대가 자주 1위를 차지하는데, 고시는 좀 차이가 있죠.

 

출처 : 법률저널 / 2019년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출신대학 현황

 

똑같은 출처인 법류저널의 자료를 보면 한국외대가 고려대를 제치고 3위에 올랐네요.

 

예전엔 3대 고등고시라고 해서 외무고시, 사법고시, 행정고시가 있었는데 이제 행정고시만 남고 나머지는 선발 제도가 바뀌었어요.

그래도 역시나 명문대 출신으로 많이 선발되죠.

고시는 '내가 정말 공부를 잘한다!' 혹은 '나는 꼭 이 일을 해야만 한다!'라는 의지와 능력이 있는 분 아니면, 가볍게 준비하지 않았으면 해요.

전문직도 그렇지만 특히 고시는 시간과 청춘을 녹여버리는 무시무시한 시험이니까요.

 

■ 공시

공무원 시험을 줄여서 공시라고 불러요.

예전에는 그렇게까지 선호하지 않던 9급 공무원에 정말 많은 지원자가 도전하고 있죠.

출처 : 안전행정부 / 연도별 9급 공무원 지원자 현황

 

출처 : 인사혁신처 & 서울경제

 

 

m.sedaily.com/NewsView/1ODDQALFOT/GC0104#cb

 

[시작된 대선, 다시 국가개조다] 명문대생도 9급 공무원 되려는 대한민국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름잡을 유력한 나라로 미국과 중국을 꼽고 있다. 특히 중국의 성장세가 무섭다.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한 이호수 SK C&C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 총괄은

m.sedaily.com

출처 : 에듀윌 / 2015~2020년 국가직 9급 응시원서

m.blog.naver.com/eduwill_good/221837049559

 

국가직공무원 9급 2020년 경쟁률 및 시험 연기 영향 분석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국가직공무원 9급 시험일정 연기​코로나19 위기 경보가 '심각'으로 ...

blog.naver.com

2017년 시험 제도가 바뀌면서 7급과 9급 동시 진행이 어려워졌다고 해요.

덕분에 9급만 준비하는 공시생 분들은 절호의 기회라고 하더라고요.

 

예전에 비해서 대학과 합격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출처 : 서울시 & 한국일보 / 7급 9급 공무원 대졸 합격자

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3300498572001

 

[슬픈 공시족의 나라] 합격률 1.8%… ‘기회의 문’은 열려있나

공무원 시험 준비는 일반 기업 취업과 접점이 없어 실패 시 리스크가 크다. 98.2%의 공시족들이 낙방에도 불구하고 노량진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다. 24일 서울 노량진에서 한 공시족이 취업용 증��

www.hankookilbo.com

2010년 전만 해도 9급 공무원은 연봉이 적어, 7급을 준비하다 여의치 않을 때 지원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라면 7급에 도전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던 게 엊그제 같은데, 2015년 뉴스를 보면 서울대생이 9급 공무원에 합격했다는 내용이 보도된 바 있어요.

저녁이 있는 삶에 가치를 두고 있기 때문에 9급 공무원이 된 것에 만족한다는 글이었는데, 아직도 만족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가 7급과 9급 공무원 시험에 몰리면서 공무원 준비도 몇 년간 준비하는 공시 낭인이 생기게 되었죠.

진짜 직업 찾기 어려운 시대가 왔어요.

 

연봉은 어떨까요?

출처 : 동아일보 & 뉴스원 / 2020년 공무원 봉급표

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91230/99012450/2

 

공무원 보수 2.8% 오른다…2020 공무원 봉급표

2020년 공무원 보수가 전년 대비 2.8% 인상된다. 인사혁신처는 2020년 공무원 처우개선 및 국민접점·현장공무원 등의 사기진작을 위한 수당조정 등의 내용을 담은 ‘공무원 …

www.donga.com

9급 공무원의 초봉을 12개월 곱하면 1년에 2000만 원에 조금 못 미치는 금액을 받게 돼요.

7급 공무원도 1년에 2255만 원 정도 받네요.

안정적인 직업이고 퇴직하면 연금도 나오지만, 초봉만 보면 그리 넉넉한 금액은 아니에요.

그래도 응시생이 많은 건, 그만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낙관적일수만은 없는 현실 때문인 거 같아요.

 

■ 끝으로...

학벌과 직업, 그리고 연봉에 관해 알아봤어요.

뭐... 공부해서 좋은 대학 가라고 만든 건 아니에요.

요즘은 오히려 닿을 수 없는 고 스펙자들이 너무 넘쳐나니까 학생들에게 꼭 명문대학을 가야 한다고 말해야 하나 싶어요.

어설프게 공부할 바에는 틈새시장을 노릴 만한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전문성을 키우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싶어요.

물론 대치동 학생들 상당수는 금전적으로 여유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기에, 명문대학을 나와서 취직에 힘쓸 금전적 시간적 여유가 있어요.

하지만, 외벌이 하는 부모님 밑에서 빠듯한 집안 형편에 있는 학생이라면,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공무원 시험에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 싶어요.

아까부터 자꾸 공무원 시험이나 공기업 시험 쪽으로 추천하게 되는 것 같은데, 취직하기 너무 어려워졌어요.

공무원이나 공기업 합격도 어렵지만, 명문대학에 합격할 에너지면 차라리 먹고 사는 걸 해결하는 시험에 쏟아 붇는 게 어떨까 싶어요.

그럼 이만 마칠게요.

다들 직업 선택에 참고하시길 바라며, 하시는 일 모두 잘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