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재우쌤이야.
오늘도 공부와의 사투에 힘들어하는 너희를 격려하려고 이 영상을 만들어.
이 영상을 본다는 것만으로도 너는 공부해야 한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거야.
유튜브에 얼마나 재미난 영상이 많은데, 굳이 썸네일도 이상한 이런 영상을 클릭했을까.
그래서 이왕 클릭한 김에 유명한 심리학자의 이야기를 듣고 힘을 내고 가도록 도와줄게.
어릴 때 나는 학교 대표로 수학 올림피아드 대회에 학교 대표로 나갈 정도로 공부를 꽤 잘했어.
그런데, 중학생 때부터 왜인지 공부가 너무 하기 싫더라고.
당시에 스타크래프트와 리니지란 게임이 나왔고, 인생이 무료했던지라 쉽게 게임에 빠져들었어.
아버지는 그런 나를 조용히 불러 근처에 있는 판자촌 언덕에 데려가셨어.
판자촌이 뭔지 모르는 학생도 있을 텐데, 그냥 언제든 철거 가능한 허름한 집이 모인 동네야.
밤에 언덕에서 판자촌을 내려다보며 아버지는 말씀하셨어.
"아들아, 공부를 열심히 안 하면 저런 곳에서 살게 된단다.
나는 네가 아버지 어릴 때처럼 가난에 허덕이는 삶을 살지 않았으면 좋겠다."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가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가난하게 살지 않아도 된다고 말씀하셨지.
아마 누구나 이런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야.
꼭 그런 건 아니지만, 공부 잘하는 사람이 평균적으로 더 많은 돈을 버는 건 맞아.
하지만, 이런 동기부여는 사람의 태도를 바꾸는데 별 도움이 안돼.
나는 고등학생 때도 성적이 곧 경쟁력이라는 걸 알고 있었지만 여전히 게임을 했고, 늘 이야기하듯이 영어 7등급이란 경이로운 결과를 마주했어.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은 했는데, 책을 펼치면 목표가 너무 멀리 있는 것 같아 좌절했고.
게임을 하면 그런 좌절감이 잠시나마 잊혔지.
게임이 아니었더라도 현실 도피가 가능한 다른 게 있었다면 거기에 중독되었을 거야.
나는 왜 늘 그렇게 구겨져 있었을까?
간단히 말해서 고정 마인드셋을 가지고 있어서 그래.
이 고정 마인드셋을 성장 마인드셋으로 바꾸는 게 공부의 시작이야.
오늘 내가 수학책의 개념을 몇 개 더 보는 게 아니라, 나와 가족의 사고 과정을 바꾸는 거.
그게 없으면 맨날 싸움이 나지.
간추려 이야기하자면,
'결과'로 나를 '입증'하겠다는 생각은 되도록 안 하는 게 좋아.
목표 대학을 정하고 거기에 갈 성적을 만들겠다.
이런 목표 중심적 사고방식은 어느 정도 자신감과 확신이 생겼을 때 도움이 돼.
내가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할 때는 '성장'과 '변화'에 초점을 맞춰야 해.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만들기 위해서 하나씩 나를 바꿔나가는 것에 의미를 둬.
여기까지 말하면 어떤 학부모님도 학생도 다 동의해.
그런데 가장 먼저 무너지는 건 사실 학부모님이야.
일주일 정도 지나고 전화해서는 우리 애가 하나도 달라진 게 없다고 말씀하셔.
학생이 플래너를 작성하고 점차 공부하는 양이 늘어난 게 눈에 보이는데 말이야.
그래서 변화한 걸 수치화해서 보여드리면
"그렇게 조금씩 변해서 언제 명문대에 가나요?"
라고 말씀하셔.
그런 조급함이 바로 '결과'로 '입증'하려는 고정 마인드셋이야.
상담 한 번 받고 안 하던 공부를 갑자기 10시간 14시간 한다면 그동안 아이는 왜 공부하지 않은 걸까?
안 될 거 같다는 두려움이 머리를 지배하고 나 자신의 뛰어남을 입증할 무언가가 사라지면서 자신을 혐오하고 무기력해진 거야.
'결과'가 너무 중요한 나머지, 나조차도 '결과'가 안 좋으면 부정하게 되었던 건데 그게 하루아침에 바뀔까.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당장의 변화보다는 변화의 가속도에 신경 쓰게 돼.
어떻게 하면 나를 성장시키고 그 속도가 점차 빨라질까.
명문대는 하나의 골인지점일 뿐이고 그 골인지점에 가는 동안 내가 어떻게 바뀌는지에 집중하게 돼.
의사, 변호사가 왜 자신의 공부 방식에 자신이 있냐면, 성장을 만들기 위해 수없이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거쳐 자신의 방식을 만들었기 때문이야.만일 시행착오를 패배로 받아들여 중간에 멈췄다면, 그들은 원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을 거야.
자, 그럼 예시를 들어보자.게임에 중독된 학생은 무엇이 성장일까?
게임을 그만 하거나 게임 시간을 줄이는 거?그것도 물론 성장이 될 수 있고 꼭 필요한 절차야.하지만, 그것보다는 게임을 대체할 빠른 성취감의 도구를 찾는 게 좋아.어차피 게임에 중독되는 건 도파민의 노예가 되는 거니까.이걸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성취감을 맛볼 다른 방안이 있어야겠지.공부하는 교재를 좀 더 쉬운 걸로 바꿔서 성취감을 맛보는 것도 방법이야.교재를 바꾼 후, 하루에 소단원 하나 공부하기 어려웠는데 대단원 하나를 정복하게 되었다.이 역시 쉽지만 엄청난 쾌감을 주거든.공부로 인한 성취감이 부족하다면 운동하는 것도 좋아.오늘 10분을 달렸는데 내일 11분을 달린다.오늘 40kg의 무게를 들었는데, 내일 45kg을 든다.수치로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는 게 결국 자신감으로 이어지지.결국 남과의 경쟁보다는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하며 나아지는 자신을 발견하란 말이야.만일 그렇게 살아서 300일 동안 노력해서 네가 원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 하여도, 너는 300일만큼 성장한 거야.어제보다 오늘 더 성장한 사람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걸 네가 안다면, 이게 얼마나 값진 변화인지 확신할 수 있을 거야.당장 너에게 공부하라고 강요하는 부모님께 여쭤봐.
"엄마는 어제보다 오늘 얼마만큼 성장하셨나요?"
헛소리하지 말고 공부하라는 대답이 많이 나오겠지.
성취감이 자신감으로 이어질 때 게임이건, 연예인이건, 그 무엇이건 나를 가두던 울타리에서 탈출할 수 있게 돼.
기억해.
어제의 나보다 나은 오늘의 내가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거야.
SKY 대학 졸업해도 후진 기어 넣고 불행을 향해 달리는 사람도 생각보다 많으니까, 고정관념에 지배되지 말고.
힘내렴.
다음에 봐.
아참, 이런 이야기가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과 좋아요 잊지말고.
좀 더 자신을 바꾸고 싶은 사람은 스탠퍼드대 심리학 교수인 저자 캐럴 드웩의 마인드셋을 꼭 읽어봐.
화이팅!
'공부법 > 공부 원리 - 뇌과학,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19일 SBS 스페셜 '당신의 아이는 혼자 공부할 수 있습니까?'를 본 대치동 강사의 피드백(1) (0) | 2020.07.29 |
---|---|
내신 &수능 이해 및 암기력 상승 전략 : 인출 (2) | 2020.07.22 |
내신 & 수능 대비 공부 속도 높이는 전략 : 부호화 (0) | 2020.07.21 |
7등급이었던 고려대졸, 대치동 컨설턴트의 핵심 공부법 (0) | 2020.07.09 |
7등급이었던 고려대졸, 대치동 컨설턴트의 하나로 끝내는 공부법 (0) | 2020.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