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효능감2 공부법 가이드 ➤ 공부법 들어가기에 앞서, 만일 앞의 내용을 읽다 뭔말인지 모르겠어서 이 페이지로 넘어왔다면, 가이드를 읽고 다시 앞의 내용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여기 적힌 내용은 모두 유명한 뇌과학, 교육 저서의 핵심을 응용하여 정리한 것이기에, 반박은 있을지 몰라도 대충 흘려 넘길 부분은 없거든요. 그럼 지금부터 뼈대가 되는 공부의 순서를 정해드리겠습니다. 앞에서 이야기한 교육학과 뇌과학 이론들을 이해하셨다면, 충분히 과목별로 변형하여 사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 ➤ 첫 번째, 지난 공부 복습 새로운 공부에 앞서, 반드시 지난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복습합니다. 복습하라면, 공부했던 페이지를 펼치고 읽는 학생이 있는데, 글을 제대로 읽은 분이라면 이게 얼마나 안 좋은 습관인지 아실 겁니다. 책을 덮고 백지에 기억나는.. 2020. 8. 12. 문제 풀이보다 나은 공부 방법 : 회상 ➤ 문제 풀이 VS. 회상 눈치 빠른 분들은 맥락화 때문에라도,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공부할 때 가장 효과적이지 않냐고 주장하실 겁니다. 인식이 뭐라 말씀드렸죠? 외부 정보에 제한적으로 노출된 상황에서 기억을 떠올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문제 풀이하는 게, 인식을 활용한 복습법이죠. 회상은 이런 외부 정보 없이 백지에 기억을 떠올려 써보거나 말로 설명하는 방식입니다. 문제 풀이식 복습법은 ‘인식’에 속하는 기억 회수법이라 ‘회상’보다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덜 되어 과학적으론 효과적이지 못한 방식입니다. 그래도 편하니까, 백지에 쓰기 귀찮거나 복습하기 싫은 학생은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쪽으로 학습 방향을 잡습니다. 많은 학부모, 선생님들 역시 정확히 알지도 못하면서 문제 풀이를 권하는 이유가 바로 .. 2020. 8. 12. 이전 1 다음